분류 :
자료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▶ <strong><a href="http://news.kotra.or.kr/user/globalAllBbs/kotranews/album/781/globalBbsDataAllView.do?dataIdx=179958&column=&search=&searchAreaCd=&searchNationCd=&searchTradeCd=&searchStartDate=&searchEndDate=&searchCategoryIdxs=&searchIndustryCateIdx=&searchItemName=&searchItemCode=&page=1&row=10">원문 바로가기</a></strong> (출처 : KOTRA 해외시장뉴스)</span></p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- 러시아 정부,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해 2024년까지 18억 달러 예산 투입 예정 -</strong>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- 스마트 헬스케어 구축으로 지방균형발전 도모 -</strong></span></p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□ 러시아 e-Health 서비스 추진 현황</strong>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e-Health의 러시아 정의: WHO(세계보건기구)에서 ‘전자식 보건시스템 관리’라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, 러시아에서는 ‘디지털 의료(Digital Medicine)’, ‘디지털 보건(Digital Health)’, ‘모바일 보건(mHealth)’, ‘원격의료관리(Telemedicine)’로 사용하고 있음. 관련 용어로 전자식 보건기록부(Electornic Health records), 보건 관련 전자교육(Health-related e-Learning), 보건소셜미디어, 빅데이터 분석 보건 등이 있음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는 2017년 7월에 원격의료서비스(Telemedicine, m-Health 또는 e-Health) 법안이 상정됐고 2018년부터 발효되면서 러시아 e-Health 서비스가 본격화됨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2017년 해당 법안 발표 당시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는 약 1700만 달러로 추정되며, 수준은 세계 시장의 0.04% 비중이었음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· MarketsandMarkets INC에 따르면 2017년 글로벌 e-Health 시장 규모는 408억2000만 달러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2018년 기준 러시아 전체 의료서비스 시장 규모(약 486억 달러)로 e-Heatlh 시장 규모는 글로벌 시장과 현지 의료서비스 시장 대비 모두 0.3% 점유 수준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e-Health 시장규모 수준(2018년 기준) (단위: 십억 루블)</span></p>
<table style="width: 7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내용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시장 규모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글로벌 시장 대비 점유율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의료서비스 시장 대비 점유율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e-Health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8.5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0.3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0.3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자료: Doctor Ryadom, MarketsandMarkets, BusinesStat 자료 종합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2023년 글로벌 e-Health 시장 규모는 2018년 대비 22.7% 성장한 1323억5000만 달러로 전망되며, 러시아는 약 14억 달러까지 성장 전망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Doctor Ryadom(Doctor Nearby)의 Denis Shvetsov 대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 시장 규모는 1억1200만 달러(100만 루블)였고 2023년까지 러시아 보건산업의 2.8%까지 이를 것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MarketsandMarkets INC에 따르면 글로벌 eHealth 시장은 2030년까지 2961억 달러에 이를 것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e-Health 시장 성장 추이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img src="/upload/editUpload/20200210/2020021010381243789.png" alt="러시아 e-Health 시장 성장 추이" width="577" height="238" />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자료: Doctor Ryadom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□ 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트렌드</strong>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스마트 헬스케어 정의 및 eHealth와의 차이: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이용자(환자)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환자정보와 질병 상태 등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임. 국제적으로 유헬스(u-Health), 이헬스(e-Health), 모바일 헬스(m-Health)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고 러시아는 현재까지 ‘스마트 헬스케어’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반면 한국은 정보통신기술과 의료서비스 융합, 의료기기 IoT 기술 접목 등으로 동 용어가 더 일반적임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 e-Health 시장 조성을 위한 의료 서비스 지원 방식은 크게 5개로 분류해 볼 수 있음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BusinesStat 전문가들에 따르면 러시아 의료서비스 지원방식은 크게 1) 예산 지원, 2) 의무 의료보험(러시아 사용 약자: OMS), 3) 법적인 상용화 의료서비스, 4) 개인선택 의료보험(약자: DMS), 5) ‘회색’ 지대(비공식) 의료서비스로 분류됨.</span></p>
<p> </p>
<table style="width: 800px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분류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방식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주요 내용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예산 지원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Budget Segment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세금 감면, 연방 및 지방 정부 보조금</span></p>
</td>
<td rowspan="2"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무상 지원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지역균형발전 정책 기반으로 지방 의료기관 지원 중심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의료진(노동자) 중심 지원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의무 의료보험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Compulsory Medical Insurance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의무 의료보험회사 펀드(보험금 지급 방식, 연방 및 지방 정부 예산 지원 방식)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법적인 상용화 의료서비스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Legal Commercial Medical Services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인 의료법인 및 사병원 조성 지원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행정절차 간소화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병원비 지급 등 의료기관 회계 시스템 정비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민간병원 조성 지원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인선택 의료보험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Voluntary Medical Insurance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인 보험 및 보험 가입 지원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개인의료보험 시스템 정비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보험사 운영 및 노동환경 개선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개인보험 서비스 질적 향상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비공식 의료서비스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“Shadow” Segment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인 의료활동 규제완화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‘개인의료활동’이란 환자가 의사에게 직접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는 것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러시아 5개 분류 의료서비스 중 OMS 비중이 48.6%로 가장 높고 예산 서비스 부문이 19.8%, 법적 상용화 서비스가 17.7%, 비공식 의료서비스 7.7%, DMS가 6.2% 순임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5개 분류 의료서비스 비중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img src="/upload/editUpload/20200210/202002101039212212.png" alt="러시아 5개 분류 의료서비스 비중" width="577" height="259" />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자료: BusinesStat 자료에 근거해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정리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 e-Health 시장이 발달해야 할 필요성과 발달 요소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음.</span></p>
<table style="width: 800px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 align="center">
<tbody>
<tr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필요성(Reasons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발달 가능성 요소(Factors)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광활한 영토(세계 1위 영토)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12~2018년 러시아 의료서비스 최적화(Optimization) 실효성 검증 필요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style="color: #373737;"> · </span>지방 의무의료보험 강제 적용으로 병원 이용 혜택 감소 현상 발생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전문 보건시설 부족(2018년 기준 러시아 전문의 수는 6만 명 수준)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만성적 질병 환자 비중 확대(2018년10월 기준 만성병 환자 비중이 전체 환자의 59% 차지)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병원 이용자 내진 절차 간소화 및 편리성 시급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의료서비스 비용 증가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국제 의료서비스 기준 준수와 영토대국들(미국, 캐나다, 중국, 인도 등)의 e-health 발달 가속도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인터넷 보급률 확대(2019년 상반기 기준 러시아 내 12세 이상 인터넷 사용자는 958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8% 차지)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이동통신 이용률 확대(심카드 사용자는 2억557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.8배 수준)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5G 구축 가속도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E-Health에 대한 직·간접 정부 지원 확대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1) 2011년 4월 러시아 정부는 ‘연방 통합 보건 정보시스템(the Unified State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)’ 구축 이니셔티브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2) 2017년 7월 러시아 정부는 ‘2017-2030 정보사회 발전 전략’ 일환으로 ‘디지털 보건(Digital Healthcare)’ 발표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3) 2019년 2월 ‘연방 통합 보건 정보시스템’ 프로그램 일환으로 '2019-2024 보건 디지털 공간 통합'이라는 국가 프로젝트 발표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· 해당 프로젝트로 12개 우선 추진 프로젝트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직접 이니셔티브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· 2018년 1월부터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법(Telemedicine법) 발효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의 대표적인 스마트 헬스케어 프로그램은 ‘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임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러시아의 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 대상은 연방과 지방 모두로 의료보험지급 및 펀딩, 의료행위 전 기관(병원, 클리닉, 개인활동 등) 의료서비스, 의약품 및 환자진료 등의 전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스 센터들이 관리하는 시스템임.</span></p>
<p> 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추진 맵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img style="display: block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src="/upload/editUpload/20200210/2020021010402106229.png" alt="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추진 맵" width="602" height="323" /></span></p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 ‘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은 2011년에 시작됐으며, 추진 일정이 3단계로 구성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단계별로 정부 지원 예산이 차이가 있으나 3번째 단계인 2019~2024년 지원 예산은 대폭 확대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· 단계별 기간 동안 루블화 환율 절하로 달러 기준으로는 예산 규모가 큰 차이가 발생</span></p>
<p> </p>
<table style="width: 7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>
<tbody>
<tr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단계별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주요 내용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예산 지원<span lang="EN-US">(</span>십억 루블<span lang="EN-US">)</span>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">2011~2012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 기본 구축 단계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lang="EN-US">30.0(</span>약 <span lang="EN-US">8</span>억<span lang="EN-US">5000</span>만 달러<span lang="EN-US">)</span>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">2013~2018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 발달 단계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lang="EN-US">30.0(</span>약 <span lang="EN-US">6</span>억<span lang="EN-US">1000</span>만 달러<span lang="EN-US">)</span></span></p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lang="EN-US">- 28.0: </span>지방정부 예산</span></p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lang="EN-US">- 2.0: </span>연방 보조금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lang="EN-US" style="font-size: 12pt;">2019~2024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lang="EN-US">‘</span>보건 디지털 공간<span lang="EN-US">’</span>을 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으로 이전 단계</span></p>
</td>
<td valign="middle"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lang="EN-US">113.8(</span>약 <span lang="EN-US">18</span>억<span lang="EN-US">6000</span>만 달러<span lang="EN-US">)</span></span></p>
<p class="1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pan lang="EN-US">- </span>연방 예산 <span lang="EN-US">101.7(</span>약 <span lang="EN-US">16</span>억<span lang="EN-US">6000</span>만 달러<span lang="EN-US">) </span>포함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□ 주요 프로젝트 및 수행기관</strong>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 </strong>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2016년에 수립된 러시아 ‘우선 e-Health 프로젝트’가 2019년 ‘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 프로젝트로 포함돼 추진 중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2016년 e-Health 관련 프로젝트 핵심은 IT 기술을 접목한 전자식 진료예약, 환자의 진료기록부 전자화 등의 e-Documentation 관리 시스템(EDMS)였으나 최근 ‘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프로젝트는 기 추진 관리 시스템을 ‘My health’로 통칭하고 e-Health 서비스를 법적으로 최적화하는 것에서 차이점을 두고 있음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법(Telemedicine, 2017년) 의거, e-Health 우선추진 프로젝트 지표</span></p>
<table style="width: 7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추진 사항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6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7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8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9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5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의무보험 대상 환자 전자 기록부 비중(%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3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4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0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0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0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00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전자서류(e-Documentation) 관리 시스템 구축 의료기관 비중(%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9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3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5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75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8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99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전자동 예약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의료기관 비중(%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5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75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85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95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99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원격의료서비스 제공 지역 수(보건법 준수 전제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7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4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65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85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“My Health” 을 통한 의료 서비스 제공 건(백만 명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6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4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4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30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48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div class="hwp_editor_board_content" style="text-align: center;" data-hjsonver="1.0" data-jsonlen="19214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자료: 러시아 정부 발표”eHealth Priority Project[1]”</span></div>
<div class="hwp_editor_board_content" style="text-align: center;" data-hjsonver="1.0" data-jsonlen="19214"><br /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정부 통합포털 “My Health” 프로세스</span></div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img style="display: block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src="/upload/editUpload/20200210/202002101046245676.PNG" alt="러시아 정부 통합포털 “My Health” 프로세스" width="784" height="429" /></span></p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‘2019-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프로젝트로 러시아 정부는 2024년까지 18억6614만 달러 투자 예정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6년간 해당 프로젝트 투자 규모 계획은 확정된 상황이며, 2020년 한 해 동안 7억9420만 달러(최대) 투자 예상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전체 투자의 77%인 14억4340만 달러(880억469만 루블)는 지방균형정책 일환으로 지역별 보건발전으로 투입될 예정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전체 투자의 18.6%인 3억4709만 달러(211억7830만 루블)는 연방 보건 발전에 투입될 것이고 3.5%인 6573만 달러(40억1000만 루블)는 국가 통합 서비스 포탈 및 주(State) 간 연결 시스템 구축으로 활용될 예정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‘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프로젝트 투자 규모(전망) (단위: 백만 루블)</span></p>
<table style="width: 7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 colspan="1"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연도</span></p>
</td>
<td colspan="1" rowspan="1"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8</span></p>
</td>
<td colspan="1" rowspan="1"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9</span></p>
</td>
<td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0</span></p>
</td>
<td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1</span></p>
</td>
<td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2</span></p>
</td>
<td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3</span></p>
</td>
<td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4</span></p>
</td>
<td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총계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투자규모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백만달러)</span></p>
</td>
<td colspan="1"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0</span></p>
</td>
<td colspan="1" rowspan="1"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5,051.2</span></p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246.7)<br />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48,447.1</span></p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794.2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4,448.1</span></p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236.8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4,946.9</span></p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245.0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0,472.8</span></p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171.7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0,469.1</span></p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171.6)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113,835.2</span></p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(1,866.1)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자료: ‘2019-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 보고서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2018년부터 발효된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법을 근거로 연방 보건부는 의료서비스 관련 정보통신기기 및 설비, 기술 보유 라이센스를 발행하기 시작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진과 기관은 연방정부에 의해 승인된 곳으로 한정돼 있으며, 대표적인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 플랫폼은 2013~2014년 동안 구축됨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ONDOC과 Doctor Ryadom을 포함해 현재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를 활발하게 제공하고 있는 기업은 약 15개사 정도임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3-2014간 구축된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 플랫폼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img style="display: block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src="/upload/editUpload/20200210/2020021010503834729.PNG" alt="2013-2014간 구축된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 플랫폼" width="785" height="648" /></span></p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의 수행 기관은 Rostec(러 연방 기술공사)와 Rostelecom사(정부 지분 45%)로 2019년 하반기 기준 약 35개 연방주에 보건 디지털 공간을 구축 중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Rostec과 Rostelecom사는 해당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2019년 7월에 Digital Medical Technologies LLC(Rostec 지분 29%, Rostelecom 지분 51%)를 설립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· Digital Medical Technologies사는 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해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음.</span></p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img style="display: block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src="/upload/editUpload/20200210/2020021010510978966.PNG" alt="6.PNG 이미지입니다." width="785" height="132" /></span></p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□ 현지 기업 반응</strong>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 보험 연합회의 Maxim Chernin 생명 보험 위원장에 따르면 2023년까지 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900억 루블(14억7000만 달러)일 것이고 이는 러시아 의료 산업의 2.3% 비중임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위원장은 러시아의 원격의료서비스(e-Health)를 발달시키는 기본적인 원천은 인터넷 및 이동통신 발달이고 원격진료 및 진단, 스크리닝 등은 기술적인 면에서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나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하기까지는 현재까지 미진한 부분이 많다고 강조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Doctor Ryadom의 Vladimir Gurdus 파트너 설립주의 관점으로 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는 2019~2024년 연방정부 지원 하에 장족의 발전이 기대되고 상업화도 급속도로 이뤄질 것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다만 기대만큼의 발전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객 중심적 서비스와 기술과학 상업화(비즈니스)가 중요하다고 강조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한편 AI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Doctor Ryadom 조사에 따르면 70% 정도의 이용자(환자)는 사실상 병원을 직접적으로 방문하지 않고 전문의 상담(처방전)만으로 충분한 상황이라고 함.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□ 관련 전시회 정보</span></p>
<table style="width: 8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전시회명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IT in Healthcare Exhibition Congress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주요 품목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· 보건 통합 시스템 및 솔루션 개발 프로그램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· 보건 서브 시스템 개발 및 모듈 개발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· 진단, 예방, 진료 시스템 관련 기기</span></p>
<p align="left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· 원격의료서비스 관련 기기, IT 기반 기기, 모바일 기기 등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최지 (러시아 도시 및 컨벤션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모스크바, Congress Hall(The Cosmos Hotel)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최기관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Consef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기간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19년 10월 10~11일(2020년 일정 미정)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사이트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https://itmcongress.ru/itm2019/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> </p>
<table style="width: 8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전시회명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Medicine&Pharma 2020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* Digital Medicine and Pharmaceutical Forum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주요품목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병원 디지털 시스템 및 솔루션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최지 (러시아 도시 및 컨벤션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모스크바, 제1모스크바 연방 의대 Congress Center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최기관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International Decentralized Association of Cryptocurrency and Blockchain/Digital Economy Development Fund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기간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0년 3월 26~27일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사이트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a href="https://forum.digital/medpharm2020"><span style="text-decoration: underline;">https://forum.digital/medpharm2020</span></a>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주:* the time table of the next event is not known at the moment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table style="width: 8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전시회명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MedSoft-2020, the 16th International Exhibition Forum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주요 품목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원격의료서비스 관련 품목 전반(클라우드 솔루션, 디지털 기록부, 환자 전자기록부, 이동통신 기능 의료장비, 의료 교육 시스템 등)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최지 (러시아 도시 및 컨벤션)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모스크바, Expocenter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개최기관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Medical IT Development Association (ARMIT)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기간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2020년4월 7~9일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사이트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https://medsoft.pro/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<strong>□ 시사점</strong>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러시아는 ‘디지털 경제’ 실현의 중심과제로 ‘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’ 구축이 2018년부터 본격화됐으며, 러시아의 궁극적 과제인 지방균형발전의 핵심 분야로 부상 중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2019~2024년 러시아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 프로젝트 추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까지는 러시아 연방 보건부 주도로 러시아 광역 보건 디지털 공간 구축이 완비될 전망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2018년 러시아 보건부가 주최한 IT in Healthcare: 2018 Results(보고대회)에 따르면 러시아 전역 70개 의료기관이 보건 디지털 공간 구축의 우선 병원으로 선정됐고 지방 중심으로 연방 보건 통합 정보 연계망 구축이 우선 추진될 것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러시아 스마트헬스케어 구축의 수행 과제</span></p>
<table style="width: 800px; margin-left: auto; margin-right: auto;" border="1" cellspacing="0" cellpadding="0">
<tbody>
<tr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핵심 과제</span></p>
</td>
<td>
<p align="center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주요 내용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국가 프로젝트가 러시아 전역을 커버할 수 있는 방법론 구축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19년 러시아 보건부에 의해 역량 센터 설립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지방 중심 프로젝트 방향 구축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참고 및 규정 자료 수집 업데이트 실시 중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데이터 네트워크 보안 운영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21년까지 보안 데이터 네트워크운영이 전체 의료 시스템의 80%까지 구축 완료 목표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연방 병원기관과 주 지방 병원기관간의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정보 공유 전자화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20년까지 장애 검증 시스템을 전 병원기관 내 구축(러시아 노동부 예산 활용)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의료기관 내 자동화 업무환경 조성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21년까지 러시아 전역 82만 개 자동화 업무환경 조성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광역 원격의료진료서비스 안착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22년까지 85개 주 국립병원 내 ‘특별 의료검진’, ‘첨단 의료검진’ 시스템과 원격의료상담 시스템을 통합 연결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e-처방 시스템 구축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23년까지 85개 주 국립병원 대상 전 처방전을 전자식으로 전환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보건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 완료에 따른 세부 수행 및 서브 시스템 구축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22년까지 85개 주 국립병원 대상 연방 보건 통합 정보시스템과 각 병원 및 의료기관 간의 의료 정보 시스템 연결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의 세부 수행 사항 및 서브 시스템 운영 지침 구축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23년까지 러시아 전역 의료 기관과 보건부 관리 통합 정보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 연결을 위한 IT하드웨어 구축 완료</span></p>
</td>
</tr>
<tr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의 안정적 운영과 My Health 캐비닛 등을 포함한 공공 포털 서비스 안정화</span></p>
</td>
<td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- 2019~2024년 동안 러시아 연방 보건부 서브 정보 시스템과 연방 정부 데이터 프로세싱 센터(기본 및 백업 플랫폼)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기반 구축</span></p>
</td>
</tr>
</tbody>
</table>
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자료: 2019-2024 러시아 연방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 프로젝트 추진 보고서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 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ㅇ 2024년까지 러시아 e-Health 산업 구축 프로젝트가 매우 구체화됐다는 점을 활용해 광역 서비스가 가능한 장비 진출이 매우 유리할 것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러시아 직접투자펀드(RDIF)는 2018년부터 러시아 e-Health 구축을 위해 Doctis사 등 구체적인 지원 기업정보를 밝힌바 있어서 프로젝트 추진이 유망한 현지기업과의 협업이 중요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IoT, AI, 클라우드 시스템, 빅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수집 및 분석 기술력 장비와 5G 기능 호환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등으로 현지진출을 도모해야 할 것</span>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- 한편 의료보험 및 병원 현대화 등 서비스 분야 진출도 전망이 밝은 상황</span></p>
<p> </p>
<hr />
<p> </p>
<p><span style="font-size: 12pt;">*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에 따라 KORTA 해외시장뉴스(http://news.kotra.or.kr/)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. </span></p>
▶ 원문 바로가기 (출처 : KOTRA 해외시장뉴스)
- 러시아 정부, 스마트 헬스케어를 위해 2024년까지 18억 달러 예산 투입 예정 -
- 스마트 헬스케어 구축으로 지방균형발전 도모 -
□ 러시아 e-Health 서비스 추진 현황
e-Health의 러시아 정의: WHO(세계보건기구)에서 ‘전자식 보건시스템 관리’라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, 러시아에서는 ‘디지털 의료(Digital Medicine)’, ‘디지털 보건(Digital Health)’, ‘모바일 보건(mHealth)’, ‘원격의료관리(Telemedicine)’로 사용하고 있음. 관련 용어로 전자식 보건기록부(Electornic Health records), 보건 관련 전자교육(Health-related e-Learning), 보건소셜미디어, 빅데이터 분석 보건 등이 있음.
ㅇ 러시아는 2017년 7월에 원격의료서비스(Telemedicine, m-Health 또는 e-Health) 법안이 상정됐고 2018년부터 발효되면서 러시아 e-Health 서비스가 본격화됨.
- 2017년 해당 법안 발표 당시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는 약 1700만 달러로 추정되며, 수준은 세계 시장의 0.04% 비중이었음.
· MarketsandMarkets INC에 따르면 2017년 글로벌 e-Health 시장 규모는 408억2000만 달러
- 2018년 기준 러시아 전체 의료서비스 시장 규모(약 486억 달러)로 e-Heatlh 시장 규모는 글로벌 시장과 현지 의료서비스 시장 대비 모두 0.3% 점유 수준
러시아 e-Health 시장규모 수준(2018년 기준) (단위: 십억 루블)
내용
|
시장 규모
|
글로벌 시장 대비 점유율
|
러시아 의료서비스 시장 대비 점유율
|
러시아 e-Health
|
8.5
|
0.3
|
0.3
|
자료: Doctor Ryadom, MarketsandMarkets, BusinesStat 자료 종합
ㅇ 2023년 글로벌 e-Health 시장 규모는 2018년 대비 22.7% 성장한 1323억5000만 달러로 전망되며, 러시아는 약 14억 달러까지 성장 전망
- Doctor Ryadom(Doctor Nearby)의 Denis Shvetsov 대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 시장 규모는 1억1200만 달러(100만 루블)였고 2023년까지 러시아 보건산업의 2.8%까지 이를 것
- MarketsandMarkets INC에 따르면 글로벌 eHealth 시장은 2030년까지 2961억 달러에 이를 것
러시아 e-Health 시장 성장 추이

자료: Doctor Ryadom
□ 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트렌드
스마트 헬스케어 정의 및 eHealth와의 차이: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 이용자(환자)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환자정보와 질병 상태 등을 분석해 실시간으로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임. 국제적으로 유헬스(u-Health), 이헬스(e-Health), 모바일 헬스(m-Health)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고 러시아는 현재까지 ‘스마트 헬스케어’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반면 한국은 정보통신기술과 의료서비스 융합, 의료기기 IoT 기술 접목 등으로 동 용어가 더 일반적임.
ㅇ 러시아 e-Health 시장 조성을 위한 의료 서비스 지원 방식은 크게 5개로 분류해 볼 수 있음.
- BusinesStat 전문가들에 따르면 러시아 의료서비스 지원방식은 크게 1) 예산 지원, 2) 의무 의료보험(러시아 사용 약자: OMS), 3) 법적인 상용화 의료서비스, 4) 개인선택 의료보험(약자: DMS), 5) ‘회색’ 지대(비공식) 의료서비스로 분류됨.
분류
|
방식
|
주요 내용
|
예산 지원
(Budget Segment)
|
세금 감면, 연방 및 지방 정부 보조금
|
- 무상 지원
- 지역균형발전 정책 기반으로 지방 의료기관 지원 중심
- 의료진(노동자) 중심 지원
|
의무 의료보험
(Compulsory Medical Insurance)
|
의무 의료보험회사 펀드(보험금 지급 방식, 연방 및 지방 정부 예산 지원 방식)
|
법적인 상용화 의료서비스
(Legal Commercial Medical Services)
|
개인 의료법인 및 사병원 조성 지원
|
- 행정절차 간소화
- 병원비 지급 등 의료기관 회계 시스템 정비
- 민간병원 조성 지원
|
개인선택 의료보험
(Voluntary Medical Insurance)
|
개인 보험 및 보험 가입 지원
|
- 개인의료보험 시스템 정비
- 보험사 운영 및 노동환경 개선
- 개인보험 서비스 질적 향상
|
비공식 의료서비스
(“Shadow” Segment)
|
개인 의료활동 규제완화
|
- ‘개인의료활동’이란 환자가 의사에게 직접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는 것
|
- 러시아 5개 분류 의료서비스 중 OMS 비중이 48.6%로 가장 높고 예산 서비스 부문이 19.8%, 법적 상용화 서비스가 17.7%, 비공식 의료서비스 7.7%, DMS가 6.2% 순임.
러시아 5개 분류 의료서비스 비중

자료: BusinesStat 자료에 근거해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정리
ㅇ 러시아 e-Health 시장이 발달해야 할 필요성과 발달 요소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음.
필요성(Reasons)
|
발달 가능성 요소(Factors)
|
- 광활한 영토(세계 1위 영토)
- 2012~2018년 러시아 의료서비스 최적화(Optimization) 실효성 검증 필요
· 지방 의무의료보험 강제 적용으로 병원 이용 혜택 감소 현상 발생
- 전문 보건시설 부족(2018년 기준 러시아 전문의 수는 6만 명 수준)
- 만성적 질병 환자 비중 확대(2018년10월 기준 만성병 환자 비중이 전체 환자의 59% 차지)
- 병원 이용자 내진 절차 간소화 및 편리성 시급
- 의료서비스 비용 증가
- 국제 의료서비스 기준 준수와 영토대국들(미국, 캐나다, 중국, 인도 등)의 e-health 발달 가속도
|
- 인터넷 보급률 확대(2019년 상반기 기준 러시아 내 12세 이상 인터넷 사용자는 958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78% 차지)
- 이동통신 이용률 확대(심카드 사용자는 2억5570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.8배 수준)
- 5G 구축 가속도
- E-Health에 대한 직·간접 정부 지원 확대
1) 2011년 4월 러시아 정부는 ‘연방 통합 보건 정보시스템(the Unified State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)’ 구축 이니셔티브
2) 2017년 7월 러시아 정부는 ‘2017-2030 정보사회 발전 전략’ 일환으로 ‘디지털 보건(Digital Healthcare)’ 발표
3) 2019년 2월 ‘연방 통합 보건 정보시스템’ 프로그램 일환으로 '2019-2024 보건 디지털 공간 통합'이라는 국가 프로젝트 발표
· 해당 프로젝트로 12개 우선 추진 프로젝트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직접 이니셔티브
· 2018년 1월부터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법(Telemedicine법) 발효
|
ㅇ 러시아의 대표적인 스마트 헬스케어 프로그램은 ‘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임.
- 러시아의 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 대상은 연방과 지방 모두로 의료보험지급 및 펀딩, 의료행위 전 기관(병원, 클리닉, 개인활동 등) 의료서비스, 의약품 및 환자진료 등의 전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스 센터들이 관리하는 시스템임.
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추진 맵

ㅇ 러시아 ‘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은 2011년에 시작됐으며, 추진 일정이 3단계로 구성
- 단계별로 정부 지원 예산이 차이가 있으나 3번째 단계인 2019~2024년 지원 예산은 대폭 확대
· 단계별 기간 동안 루블화 환율 절하로 달러 기준으로는 예산 규모가 큰 차이가 발생
단계별
|
주요 내용
|
예산 지원(십억 루블)
|
2011~2012
|
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 기본 구축 단계
|
30.0(약 8억5000만 달러)
|
2013~2018
|
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 발달 단계
|
30.0(약 6억1000만 달러)
- 28.0: 지방정부 예산
- 2.0: 연방 보조금
|
2019~2024
|
‘보건 디지털 공간’을 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으로 이전 단계
|
113.8(약 18억6000만 달러)
- 연방 예산 101.7(약 16억6000만 달러) 포함
|
□ 주요 프로젝트 및 수행기관
ㅇ 2016년에 수립된 러시아 ‘우선 e-Health 프로젝트’가 2019년 ‘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 프로젝트로 포함돼 추진 중
- 2016년 e-Health 관련 프로젝트 핵심은 IT 기술을 접목한 전자식 진료예약, 환자의 진료기록부 전자화 등의 e-Documentation 관리 시스템(EDMS)였으나 최근 ‘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프로젝트는 기 추진 관리 시스템을 ‘My health’로 통칭하고 e-Health 서비스를 법적으로 최적화하는 것에서 차이점을 두고 있음.
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법(Telemedicine, 2017년) 의거, e-Health 우선추진 프로젝트 지표
추진 사항
|
2016
|
2017
|
2018
|
2019
|
2020
|
2025
|
의무보험 대상 환자 전자 기록부 비중(%)
|
30
|
40
|
100
|
100
|
100
|
100
|
전자서류(e-Documentation) 관리 시스템 구축 의료기관 비중(%)
|
9
|
30
|
50
|
75
|
80
|
99
|
전자동 예약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의료기관 비중(%)
|
-
|
50
|
75
|
85
|
95
|
99
|
원격의료서비스 제공 지역 수(보건법 준수 전제)
|
-
|
7
|
20
|
40
|
65
|
85
|
“My Health” 을 통한 의료 서비스 제공 건(백만 명)
|
-
|
6
|
14
|
24
|
30
|
48
|
자료: 러시아 정부 발표”eHealth Priority Project[1]”
러시아 정부 통합포털 “My Health” 프로세스

ㅇ ‘2019-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프로젝트로 러시아 정부는 2024년까지 18억6614만 달러 투자 예정
- 6년간 해당 프로젝트 투자 규모 계획은 확정된 상황이며, 2020년 한 해 동안 7억9420만 달러(최대) 투자 예상
- 전체 투자의 77%인 14억4340만 달러(880억469만 루블)는 지방균형정책 일환으로 지역별 보건발전으로 투입될 예정
- 전체 투자의 18.6%인 3억4709만 달러(211억7830만 루블)는 연방 보건 발전에 투입될 것이고 3.5%인 6573만 달러(40억1000만 루블)는 국가 통합 서비스 포탈 및 주(State) 간 연결 시스템 구축으로 활용될 예정
‘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프로젝트 투자 규모(전망) (단위: 백만 루블)
연도
|
2018
|
2019
|
2020
|
2021
|
2022
|
2023
|
2024
|
총계
|
투자규모
(백만달러)
|
0
|
15,051.2
(246.7)
|
48,447.1
(794.2)
|
14,448.1
(236.8)
|
14,946.9
(245.0)
|
10,472.8
(171.7)
|
10,469.1
(171.6)
|
113,835.2
(1,866.1)
|
자료: ‘2019-2024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’ 구축 보고서
ㅇ 2018년부터 발효된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법을 근거로 연방 보건부는 의료서비스 관련 정보통신기기 및 설비, 기술 보유 라이센스를 발행하기 시작
-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진과 기관은 연방정부에 의해 승인된 곳으로 한정돼 있으며, 대표적인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 플랫폼은 2013~2014년 동안 구축됨.
- ONDOC과 Doctor Ryadom을 포함해 현재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를 활발하게 제공하고 있는 기업은 약 15개사 정도임.
2013-2014간 구축된 러시아 원격의료서비스 플랫폼

ㅇ 러시아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의 수행 기관은 Rostec(러 연방 기술공사)와 Rostelecom사(정부 지분 45%)로 2019년 하반기 기준 약 35개 연방주에 보건 디지털 공간을 구축 중
- Rostec과 Rostelecom사는 해당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2019년 7월에 Digital Medical Technologies LLC(Rostec 지분 29%, Rostelecom 지분 51%)를 설립
· Digital Medical Technologies사는 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해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 디자인을 담당하고 있음.

□ 현지 기업 반응
ㅇ 러시아 보험 연합회의 Maxim Chernin 생명 보험 위원장에 따르면 2023년까지 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이 900억 루블(14억7000만 달러)일 것이고 이는 러시아 의료 산업의 2.3% 비중임.
- 위원장은 러시아의 원격의료서비스(e-Health)를 발달시키는 기본적인 원천은 인터넷 및 이동통신 발달이고 원격진료 및 진단, 스크리닝 등은 기술적인 면에서 충분히 가능한 상황이나 국제적인 수준에 도달하기까지는 현재까지 미진한 부분이 많다고 강조
ㅇ Doctor Ryadom의 Vladimir Gurdus 파트너 설립주의 관점으로 러시아 스마트 헬스케어는 2019~2024년 연방정부 지원 하에 장족의 발전이 기대되고 상업화도 급속도로 이뤄질 것
- 다만 기대만큼의 발전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고객 중심적 서비스와 기술과학 상업화(비즈니스)가 중요하다고 강조
- 한편 AI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Doctor Ryadom 조사에 따르면 70% 정도의 이용자(환자)는 사실상 병원을 직접적으로 방문하지 않고 전문의 상담(처방전)만으로 충분한 상황이라고 함.
□ 관련 전시회 정보
전시회명
|
IT in Healthcare Exhibition Congress
|
주요 품목
|
· 보건 통합 시스템 및 솔루션 개발 프로그램
· 보건 서브 시스템 개발 및 모듈 개발
· 진단, 예방, 진료 시스템 관련 기기
· 원격의료서비스 관련 기기, IT 기반 기기, 모바일 기기 등
|
개최지 (러시아 도시 및 컨벤션)
|
러시아 모스크바, Congress Hall(The Cosmos Hotel)
|
개최기관
|
Consef
|
기간
|
2019년 10월 10~11일(2020년 일정 미정)
|
사이트
|
https://itmcongress.ru/itm2019/
|
전시회명
|
Medicine&Pharma 2020
* Digital Medicine and Pharmaceutical Forum
|
주요품목
|
병원 디지털 시스템 및 솔루션
|
개최지 (러시아 도시 및 컨벤션)
|
러시아 모스크바, 제1모스크바 연방 의대 Congress Center
|
개최기관
|
International Decentralized Association of Cryptocurrency and Blockchain/Digital Economy Development Fund
|
기간
|
2020년 3월 26~27일
|
사이트
|
https://forum.digital/medpharm2020
|
주:* the time table of the next event is not known at the moment
전시회명
|
MedSoft-2020, the 16th International Exhibition Forum
|
주요 품목
|
원격의료서비스 관련 품목 전반(클라우드 솔루션, 디지털 기록부, 환자 전자기록부, 이동통신 기능 의료장비, 의료 교육 시스템 등)
|
개최지 (러시아 도시 및 컨벤션)
|
러시아 모스크바, Expocenter
|
개최기관
|
Medical IT Development Association (ARMIT)
|
기간
|
2020년4월 7~9일
|
사이트
|
https://medsoft.pro/
|
□ 시사점
ㅇ 러시아는 ‘디지털 경제’ 실현의 중심과제로 ‘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’ 구축이 2018년부터 본격화됐으며, 러시아의 궁극적 과제인 지방균형발전의 핵심 분야로 부상 중
- 2019~2024년 러시아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 프로젝트 추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까지는 러시아 연방 보건부 주도로 러시아 광역 보건 디지털 공간 구축이 완비될 전망
- 2018년 러시아 보건부가 주최한 IT in Healthcare: 2018 Results(보고대회)에 따르면 러시아 전역 70개 의료기관이 보건 디지털 공간 구축의 우선 병원으로 선정됐고 지방 중심으로 연방 보건 통합 정보 연계망 구축이 우선 추진될 것
러시아 스마트헬스케어 구축의 수행 과제
핵심 과제
|
주요 내용
|
국가 프로젝트가 러시아 전역을 커버할 수 있는 방법론 구축
|
- 2019년 러시아 보건부에 의해 역량 센터 설립
- 지방 중심 프로젝트 방향 구축
- 참고 및 규정 자료 수집 업데이트 실시 중
|
데이터 네트워크 보안 운영
|
- 2021년까지 보안 데이터 네트워크운영이 전체 의료 시스템의 80%까지 구축 완료 목표
|
연방 병원기관과 주 지방 병원기관간의
정보 공유 전자화
|
- 2020년까지 장애 검증 시스템을 전 병원기관 내 구축(러시아 노동부 예산 활용)
|
의료기관 내 자동화 업무환경 조성
|
- 2021년까지 러시아 전역 82만 개 자동화 업무환경 조성
|
광역 원격의료진료서비스 안착
|
- 2022년까지 85개 주 국립병원 내 ‘특별 의료검진’, ‘첨단 의료검진’ 시스템과 원격의료상담 시스템을 통합 연결
|
e-처방 시스템 구축
|
- 2023년까지 85개 주 국립병원 대상 전 처방전을 전자식으로 전환
|
보건 통합 정보시스템 구축 완료에 따른 세부 수행 및 서브 시스템 구축
|
- 2022년까지 85개 주 국립병원 대상 연방 보건 통합 정보시스템과 각 병원 및 의료기관 간의 의료 정보 시스템 연결
|
보건 통합 정보 시스템의 세부 수행 사항 및 서브 시스템 운영 지침 구축
|
- 2023년까지 러시아 전역 의료 기관과 보건부 관리 통합 정보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 연결을 위한 IT하드웨어 구축 완료
|
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의 안정적 운영과 My Health 캐비닛 등을 포함한 공공 포털 서비스 안정화
|
- 2019~2024년 동안 러시아 연방 보건부 서브 정보 시스템과 연방 정부 데이터 프로세싱 센터(기본 및 백업 플랫폼)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기반 구축
|
자료: 2019-2024 러시아 연방 보건 통합 디지털 공간 구축 프로젝트 추진 보고서
ㅇ 2024년까지 러시아 e-Health 산업 구축 프로젝트가 매우 구체화됐다는 점을 활용해 광역 서비스가 가능한 장비 진출이 매우 유리할 것
- 러시아 직접투자펀드(RDIF)는 2018년부터 러시아 e-Health 구축을 위해 Doctis사 등 구체적인 지원 기업정보를 밝힌바 있어서 프로젝트 추진이 유망한 현지기업과의 협업이 중요
- IoT, AI, 클라우드 시스템, 빅데이터 등과 같은 정보수집 및 분석 기술력 장비와 5G 기능 호환성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등으로 현지진출을 도모해야 할 것
- 한편 의료보험 및 병원 현대화 등 서비스 분야 진출도 전망이 밝은 상황
*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1유형에 따라 KORTA 해외시장뉴스(http://news.kotra.or.kr/)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.